home
📈

게임 퍼블리싱 AI 어시스턴트, 플라밍고 출시

더 쉽게 사용하는 게임 퍼블리싱 어시스턴트

게임 퍼블리싱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점은 무엇인가요? 일반적인 이커머스와 달리, 게임은 출시 후에도 꾸준한 개발·운영을 통해 프로덕트의 성장을 이끌어내야 하는 산업입니다. 실제로 게임을 개발하는 것 보다 매출 분석, 마케팅, 운영, 전략 수립 등 퍼블리싱 과정에서 더 어려움을 겪는 개발사도 많죠.
이러한 고민을 해결하고자 출시된 AI 어시스턴트 플라밍고는 다양한 기능을 지원합니다. 현재 베타 테스트 기간으로 게임 진단 · 요약 리포트 · 데이터 상세 분석을 무료로 사용할 수 있어요. 또한 운영 지원 기능과 AI 진단을 통해 게임 퍼블리싱에 더욱 긴밀하게 도움을 드릴 수 있도록, 다양한 업데이트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지금 내 게임은 어느 위치에 있을까?

기존 데이터 분석 과정에서 가장 어려웠던 것은 “무엇을 봐야 하는지 모르겠다”는 점이었습니다. CPI, Retention, Session Length 등 하나의 게임을 구성하는 데이터가 너무 다양하고, 숙련된 데이터 분석 기술이 없다면 어떤 지표가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직관적으로 파악하기가 어려웠죠. 또한 데이터를 축적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지나치게 많은 리소스가 투입된다는 어려움의 목소리도 많았습니다.
반면, 플라밍고의 게임 최적화 점수에서는 스코어링을 통해 직관적인 데이터 인사이트를 제공합니다. 물론 게임의 성격과 BM 구조에 따라 상이할 수 있지만, 지금까지 알로하팩토리의 게임 퍼블리싱 과정에서 쌓아온 노하우로 게임을 진단하고 전략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드리고 있어요.

게임을 점수로 진단하기

지금까지 많은 데이터 분석 솔루션에서 지표의 증감값에 중점을 뒀다면, 플라밍고는 다양한 성공 케이스를 모아 점수로 측정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어요. 특히 게임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중요한 CPI, Retention, PUR 등 핵심성과지표(KPI)를 정의하고, 이를 점수로 환산하여 현재 게임의 상황을 진단합니다.
유저는 이를 통해 단순히 ‘성과가 증가했다 / 감소했다’가 아닌, 현재 출시한 게임이 시장에서 어느 정도의 성과를 보이고 있는지 한 눈에 파악하기 더 쉬워졌어요. 또한 수익성 · 시장성 · 게임성 중 어떤 부분에서 장/단점을 지니는지 파악하고 전략의 방향성을 수립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만약 현재 게임의 성과가 다소 낮다고 판단된다면, 우선 점수를 올리는 데 집중해보는 건 어떨까요?

성과의 우선순위를 비교하기

: “전반적으로 지표가 감소했을 때 뭐부터 개선해야 하나요?”
데이터를 분석할 때 가장 어려운 질문 중 하나입니다. 지금 당장 개선해야 하는 지표는 많은데, 리소스가 한정되어 있으니 어떤 지표부터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지 몰라 당황하는 상황 또한 자주 발생하죠. 이런 어려움 또한 점수를 통해 가이드를 드리고 있습니다.
게임의 점수를 산출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지표는 서로 다른 가중치를 지니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NRU(신규 유저)를 측정하는 Retention 지표는 단기간의 성과를 중요하게 여기는 경우가 많은데요. 때문에 동일한 비율으로 두 지표가 낮게 나타난다면 D1 Retention을 우선적으로 개선하기 위해 튜토리얼 스테이지 점검, CRM 마케팅 진행 등의 활동 우선 순위가 높게 나타납니다. 이러한 방법으로 가장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할 지표를 먼저 확인하여, 보다 효율적으로 리소스를 활용하실 수 있도록 도와드리고 있어요.

매일 확인해야 하는 Daily Report

게임 퍼블리싱에서 데이터 분석을 진행할 때, 전략을 수립하는 것 또한 중요하지만 현재 게임의 지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 또한 중요한 문제입니다. 때문에 깊게 생각해야 하는 지표들이 아니라, 정말 중요하다고 판단하는 핵심 지표로 구성된 대시보드를 구성했어요.

매출 지표를 가장 중점적으로

게임 퍼블리싱에서 가장 민감한 부분은 역시 매출입니다. 때문에 한 장짜리 요약 리포트를 구축하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매출의 변화를 즉각적으로 파악하는 것”이었어요. 때문에 핵심 지표 점검 메뉴를 구성하는 우선순위는 아래와 같이 정렬되었습니다.
매출 지표 > 마케팅 지표 > 유저 행동 지표 > 게임 지표
또한, 모니터링의 가장 큰 목적은 ‘이상치를 감지하는 것’이예요. 때문에 선택한 기간에 따라 지표가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지 인지할 수 있도록 많은 지표가 시계열 그래프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특정 일자에 지표가 갑자기 변한다면, 이어지는 상세 분석 메뉴에서 원인이 무엇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죠.

보다 상세한 데이터 분석이 필요하다면

데이터를 활용하려는 목적과 역할에 따라 상세한 데이터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요약된 리포트 뿐만 아니라 매출, 마케팅, 유저(Activation), 게임 내 활동 지표까지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고 특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 데이터 분석 파이프라인이 필요하다 판단했어요. 결국, 플라밍고에서 가장 이상적으로 생각하는 데이터 분석은 아래와 같은 과정으로 진행되는 것입니다.
(1) 게임 최적화 점수: “우리 게임이 아직 시장에서 조금 부족한 위치에 있는 것 같아
(2) 핵심 지표 점검: “갑자기 매출액이 급감했는데, 이 때 어떤 일이 있었지?
(3) 데이터 상세 분석: “IAA는 유지되고 있는데, IAP가 급격히 감소했네. IAP 지표 중, PU는 비슷한데 ARPPU가 낮아졌으니, 보다 상위 단계의 아이템을 출시해야 할 것 같아
플라밍고는 위 예시처럼, 데이터 분석을 단계별로 구성하여 요약1요약2세부 데이터 순으로 구성했어요.

매출 분석

매출 분석 메뉴에서는 매출을 구성하는 요소인 IAP(In-App Purchase)IAA(In-App Advertise)의 성과 추이를 자세히 다루고 있습니다. 두 그룹의 비교를 통해 매출의 변화가 어떠한 요인으로 발생한 현상인지, 게임 내 상품 · 아이템별 판매량은 어떻게 차이 나는지 측정할 수 있어요.

마케팅 분석

마케팅 분석 메뉴에서는 Meta, Google을 중심으로, 각 매체별 마케팅 성과를 자세히 비교할 수 있습니다. 특히 마케팅을 운영할 때 가장 중요한 지표인 ROAS와 CPI의 일별 추이를 확인하거나, 전체 매체의 캠페인별 성과를 비교할 때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어요. 단, 아직 Google Ads와 Meta 외의 광고 매체는 자세한 분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유저 분석

매출 분석과 마케팅 분석이 유저를 확보하는(Acqusition) 과정의 지표를 자세히 다룬다면, 유저 분석과 게임 분석 메뉴는 게임에서 발생하는 행동(Activation) 지표를 다룹니다.
유저 분석 메뉴에서는 사용자의 유형을 ‘활성 유저(AU)’, ‘신규 유저(NRU)’, ‘기존 유저’, ‘복귀 유저’, ‘이탈 유저’까지 다섯개의 가지로 구분했어요. 때문에 단순히 “DAU가 증가했다 / 감소했다”와 같은 전반적인 흐름 뿐만 아니라, 어떤 유저 그룹의 활동성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자세히 알 수 있습니다.
이상 새롭게 모습을 선보인 플라밍고의 주요 기능에 대해 살펴보았습니다. 나아가 게임 퍼블리싱 과정에서 자주 활용하는 지표와 데이터 분석 방법을 간략히 알아보았는데요. 이어서 플라밍고 서비스가 세상에 출시하기까지 과정을 간략히 소개하겠습니다.
플라밍고는 현재 Beta 테스트 기간인 만큼, 베타 테스터에 신청해주시면 90일간 모든 기능을 자유롭게 사용하실 수 있어요! 지속적인 피드백과 업데이트를 통해 더욱 만족스러운 서비스로 보답하겠습니다
알로하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저희가 직접 경험하고 고민중인 알로하팩토리만의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실무에 바로 적용할 수 있는 알찬 정보를 제공해드리겠습니다.
AI 퍼블리싱 어시스턴트, 플라밍고 매출 분석, 운영, 마케팅, 게임 분석까지.. 퍼블리싱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면, All-in-One 퍼블리싱 어시스턴트 플라밍고와 함께하세요! [플라밍고 바로가기]